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2025 기업이 주목하는 핵심 AI 직무 7가지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2025 기업이 주목하는 핵심 AI 직무 7가지
Ai 이모티콘 7가지

최근 채용 시장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산업 군을 망라하고 AI 활용이 극대화되면서 AI 직무 채용 공고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실제로 생성형 AI 직무의 채용 공고가 2022년과 2024년 사이에 50% 증가했고, 2024년 10월 AI 관련 월별 채용 공고는 약 16,000개로 정점을 찍었어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물론이고, 스타트업까지 AI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죠.

Ai 채용 공고 동향 [출처] Aura AI Job Trends 2025 Report

오늘은 어떤 직무들이 주목받고 있고, 각각 어떤 일을 하는지 AX시대를 이끄는 핵심 AI 직무 7가지를 살펴볼게요!


1. 머신러닝 엔지니어 (ML Engineer)

: AI 모델을 현실로 만들어요 🤖

머신러닝 엔지니어는 AI의 핵심 기술인 머신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한 뒤, 실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배포하는 일을 담당해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AI의 두뇌를 만든다면, 머신러닝 엔지니어는 그 두뇌를 실제로 작동시키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어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만든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고,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주요 업무

✅ 머신러닝 모델 개발 및 최적화
✅ MLOps 파이프라인 구축
✅ 모델 성능 모니터링
✅ A/B 테스트 설계

2. AI 제품 매니저 (AI Product Manager)

: 기술과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전략을 세워요 🎯

AI 제품 매니저는 요즘 가장 핫한 직무 중 하나예요.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전략을 수립하고, 개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해요. 기술적 이해와 비즈니스 감각을 동시에 갖춘 인재로, AI 제품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포지션이죠. 특히 ChatGPT, 클로드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들이 인기를 끌면서 AI 제품 매니저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요.

👉
주요 업무

✅ AI 제품 로드맵 수립 및 전략 기획
✅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및 기능 정의
✅ 개발팀, 디자인팀과의 협업 관리
✅ 시장 트렌드 분석 및 경쟁사 벤치마킹

3.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Data Scientist)

: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해요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방대한 데이터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요. 최근에는 단순히 데이터 분석을 넘어서, 생성형 AI와 결합한 인사이트 도출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어요.

👉
주요 업무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 통계적 실험 설계 및 해석
✅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및 리포팅

4. AI 윤리 전문가 (AI Ethics Specialist)

: 책임감 있는 AI를 만들어요 🛡️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AI 윤리 전문가라는 새로운 직종이 떠오르고 있어요. 공정성과 투명성 측면에서 책임감 있는 AI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편향성 문제(데이터 편향, 사회적 편향, 알고리즘 편향 등)를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요. 특히 EU의 AI 규제법, 미국의 AI 안전 정책 등이 강화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에게 필수적인 포지션이 되고 있어요.

👉
주요 업무

✅ AI 윤리 정책 및 가이드라인 수립
✅ 알고리즘 편향성 검증 및 개선
✅ 규제 준수 관리 및 리스크 평가
✅ 사회적 영향 평가 및 이해관계자 소통

5. 대화형 AI 개발자 (Conversational AI Developer)

: 사람과 AI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도록 도와줘요 🗣️

챗봇, 음성 어시스턴트, 고객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등 대화형 AI 솔루션을 개발해요. 자연어 처리 기술(NLP)을 활용해 사용자와 AI가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게 만들어요. ChatGPT의 등장으로 대화형 AI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이 분야 전문가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어요.

👉
주요 업무

✅ 대화 시나리오 설계 및 플로우 구축
✅ NLP 모델 개발 및 파인튜닝
✅ 대화 품질 평가 및 개선
✅ 사용자 경험 최적화

6. 컴퓨터 비전 엔지니어 (Computer Vision Engineer)

: 기계에게 눈을 만들어줘요 👁️

이미지와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의 전문가예요. 자율주행차, 의료 영상 분석, 제조업 품질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시각 인식 시스템을 개발해요. 최근에는 생성형 AI와 결합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기술까지 다루고 있어요. 테슬라, 현대자동차 등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들에서 특히 높은 대우를 받고 있는 직종이에요.

👉
주요 업무

✅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 개발
✅ 객체 인식 및 추적 모델 구축
✅ 실시간 영상 분석 시스템 개발
✅ 3D 비전 및 AR/VR 기술 구현

7. AI 운영 엔지니어 (AI Operations Engineer)

: AI 서비스의 안정성을 책임져요 ⚙️

AI 모델과 시스템이 24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리해요. MLOps, 모델 모니터링, 성능 최적화 등을 통해 AI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특히 대규모 AI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인력이에요.

👉
주요 업무

✅ 모델 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 실시간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 장애 대응 및 복구 프로세스 관리
✅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및 확장성 확보

🚀 AX 시대, 빅테크 기업들은 이미 시작한 명함 혁신

AI 경쟁력은 기술뿐만 아니라 조직 문화에서도 나옵니다. AI 인재들이 함께하고 싶어하는 기업은 디테일까지 디지털화된 곳이죠.

실제로 챗 GPT를 만든 OPEN AI에서도 종이 명함 대신 디지털 명함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AI가 세상을 바꾸고 있는 지금! 슬라이스와 함께 명함부터 디지털로 바꾸는 혁신을 시작해 보면 어떨까요?

📂 슬라이스 서비스 소개서 받아보기

📍기업 도입 문의